Knee

무릎

바르고 곧은 마음의 환자중심병원이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빠른서비스

TOP

무릎

반월상 연골판 손상

반월상 연골판 손상 증상 및 치료방법

무릎 위아래 관절사이에 반달모양 연골
한 쪽의 무릎에는 대퇴골(허벅지뼈)과 경골(종아리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해주는 연골판이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있습니다. 연골판의 모양이 반달 모양으로 생겨서 반월상 연골판이라고 부르며 반월상 연골판 손상의 연평균 발생률은 10만명 중 60~70명 정도로, 남성에서 2.5~4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20대 이후는 과도한 운동, 40대 이후는 퇴행성이 원인
크게 외상성과 퇴행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외상성의 경우 대개 20대 전후의 젊은 연령에 흔하고 1/3에서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동반됩니다. 급성 전방십자 인대 손상에서는 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이 흔히 동반되고, 만성 전방십자인대 결핍에서는 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의 동반이 흔합니다. 퇴행성의 경우에는 주로 40~50대 이후의 중년에 흔하고 사소한 일상생활이나 경미한 부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2/3 이상에서 반복적이고 과도한 활동 및 하중 부하의 병력이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술 / 비수술 치료
증상과 의사의 진찰로 의심할 수 있으며 MRI검사는 높은 정확도로 진단이 가능 합니다. 파열된 부위와 정도, 양상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합니다. 외상성 파열의 경우는 파열의 안정성 여부, 퇴행성 파열의 경우는 증상의 정도를 중요한 요소로 고려합니다. 퇴행성 파열의 경우 고정치료는 요하지 않으며 보존적 요법으로 증상이 호전되면 수술적 치료를 요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월상 연골판 손상 사진